개발하고 싶은 초심자
[React] 리액트 절대 경로 지정하는 방법 본문
기술개념정리(in Javascript)/개발&에러핸들링(in Work(Codestates))
[React] 리액트 절대 경로 지정하는 방법
정새얀 2022. 9. 28. 20:16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그리고 현재 리액트로 개발을 하면서 상대 경로와 절대 경로의 사이에서 고민을 많이 했다.
상대 경로를 지정할 때 가끔 리액트에서 경로를 읽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현재 작성하는 기능에서 멀리 있는 컴포넌트 혹은 페이지를 import를 할 때마다 번거롭고 가독성이 자꾸 나빠졌다.
ex)
// 상대경로
import Page from '../../components/Page';
// 절대경로
import Page from 'components/Page';
상대 경로가 무조건적으로 좋지 않다, 절대 경로만 좋다는 의미로 작성하는 글은 아니지만 이론상으로는 속도도 빠르다고 하며, 경로 수정이 용이한 점 때문에 절대 경로의 장점이 더 극대화되어 체감이 된다.
절대 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나는 jsonconfig.json을 사용했다.
현재 나는 js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jsconfig.json 파일을 루트 디렉토리에 만들었다(타입스크립트는 tsconfig.json).
{
"compilerOptions": {
// 루트 디렉토리가 src
"baseUrl": "src"
},
// import할 때 해당 루트의 포함 여부
// include에 src를 포함하면 'components/Page'
// include에 src를 포함하지 않으면 'src/components/Page'
"include": ["src"]
}
리액트를 이용하면 src 폴더 하단에 대부분의 폴더들이 존재한다(내가 기능 작성하면서 src 폴더 외부에 무언가를 만드는 것은 조금 불편하게 느껴짐).
그래서 위의 방법대로 했을 때 절대경로로 컴포넌트가 불러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개념정리(in Javascript) > 개발&에러핸들링(in Work(Codesta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terial UI/MUI] 아이콘 적용 및 크기 조절 (0) | 2022.10.10 |
---|---|
[Git] 기존 프로젝트 github repository에 연결하기 (0) | 2022.10.07 |
[React] 리액트 관련 에러 및 핸들링 (0) | 2022.10.06 |
[React] 특정 페이지에서 header/footer 보이지 않게 하기 (0) | 2022.10.04 |
[React] 리액트로 체크박스 및 카테고리 선택, 해제 기능 구현 (0) | 2022.10.03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