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하고 싶은 초심자

211008 D+4 반복문(for문, while문) 본문

기술개념정리(in Javascript)

211008 D+4 반복문(for문, while문)

정새얀 2021. 10. 8. 12:28

1. 반복문

: 같거나 비슷한 코드를 여러 번 실행시켜야 할 때 쓰는 구문

 조건을 따지고 조건을 전부 정확하게 정의해준 다음에!

ex)

let sum = 1

sum = sum + 2;

sum = sum + 3;

sum = sum + 4;

배경색 쳐놓은 부분이 '조건'

console.log(sum);

 

// sum과 숫자 n의 합을 sum에 대입하자.

// 조건에서 숫자 n은 2부터 시작한다.

// 숫자 n은 4가 될 때까지 반복한다.

// 숫자 n은 1씩 증가한다.

 

반복문을 작성하는 순서

반복할 내용을 코드로 먼저 작성한다.

예시에서 보면 반복되는 코드는 sum = sum + n이다.

 

조건을 코드로 작성한다(조건문).

숫자 n은 2부터 시작한다.

그러면 변수로 먼저 선언을 해준다.

let n = 2;

숫자 n은 4가 될 때까지 반복한다.

즉, 숫자 n은 4와 같거나 그보다 작다.

n <= 4;

마지막으로 숫자 n은 1씩 증가한다.

n = n + 1;

즉,

let n = 2;

n <= 4

n = n + 1;

로 조건을 작성할 수 있다.

→ for 구문은 어디까지 반복을 해야하는가가 정해져있을 때 주로 사용함

 

 for 구문 쓰는 순서

①반복할 내용(반복되는 코드)을 { } 안에 넣어준다.

앞에 예시를 다시 보자.

let sum = 1;

sum = sum + 2;

sum = sum + 3;

sum = sum + 4;

sum = sum + n 구문이 반복되고 있다.

이제 이 다음 줄에 for구문을 사용하여 반복문을 써보자.

for() { 
  sum = sum + n 
}

 

② 반복문의 조건을 초기화, 조건식, 증감문 순서로 ( )안에 넣어준다.

예시에서 보면, 우리는 조건을

let n = 2;

n <= 4

n = n + 1;

으로 작성했다.

그렇다면 초기 조건, 즉 반복하는 횟수는

let n = 2;

가 될 것이고

 

언제까지 반복되는 조건인지?몇 번이나 반복하게 할 것인가?

n <= 4;

 

마지막으로 얼만큼 증가하고 감소할 것인지?즉, 반복이 끝났을 때의 상태 변화는?

n = n + 1;

 

그렇다면 이것을 다시 정리하여 쓰게 되면,

let sum = 1;

for (let n = 2; n <= 4; n = n + 1;) {

  sum = sum + n

}

console.log(sum); // 10

 

그렇다면 예시를 하나 더 들어보자.

for(           ,                      ) {  

}   

console.log('I am a girl')

콘솔 출력을 다섯 번 반복하여 찍기 위해 필요한 조건은 무엇일까?

 

첫번째는 초기화, 두번째는 조건식, 세번째는 증감문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let n = 0 || let n = 1로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조건식은? 우리는 5번 반복해야 되기 때문에 n <= 4 || n < 5로 적을 수 있다.

증감문은? n = n + 1이다.

'I am a girl'을 5번 출력해야 하기 때문에. 5번 출력한다는 것이 조건이다.

for(let n = 0; n <=4; n = n + 1) {

   console.log('I am a girl');

}

// ⑤ I am a girl

// n = 0 이고, n이 4보다 작거나 같다. n = n  + 1;이다.

   즉, 0부터 4까지이다. 0, 1, 2, 3, 4

   총 5번 반복이 된다.

 

for(let n = 0; n < 5; n = n + 1){

   console.log('I am a girl');

}

//  ⑤ I am a girl

// 위의 예시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된다.

n = 0, n = 5보다 작다. 5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즉 0, 1, 2, 3, 4

 

for(let n = 1; n <= 5; n = n + 1){

    console.log('I am a girl');

}

⑤ I am a girl

// 이번엔 변수 n을 1로 선언하였다. 이제 n은 5와 같거나 그보다 작다. 즉, 5를 포함한다.

   1, 2, 3, 4, 5

// 총 5번 반복이 된다.

 

- while구문

: 특정 조건까지 계속 반복을 해야하는가일 때 주로 사용함

반복할 조건 중 초기화와 증감문을 따로 쓰고, 조건식을 따로 괄호 안에 써준다.

 

앞의 예시에서 따왔던

let sum = 1

sum = sum + 2;

sum = sum + 3;

sum = sum + 4;

console.log(sum);

을 보자.

let sum = 1;

let n = 2; // 초기화를 따로 써줬다

while(n <= 4) { // 조건식을 따로 소괄호 안에 써주었다

  sum = sum + n; // 반복되는 구문을 { } 안에 써주었다

  n = n + 1; // 증감문도 초기화와 같이 따로 써주었다

}

console.log(sum) // 10

 

즉,

let 변수  = 1;

let 초기화변수 = 2;

while(조건식) {

  반복구문

  증감문;

}

console.log(변수);

'기술개념정리(in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1015 D+11 CLI  (0) 2021.10.14
211013 D+9 CSS  (0) 2021.10.13
211012 D+8 HTML  (0) 2021.10.12
211007 D+3 문자열(typeof String)  (0) 2021.10.07
211006 D+2 변수와 선언, 할당, 타입, 함수, 조건문  (0) 2021.10.06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