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roject in Codestates (31)
개발하고 싶은 초심자
1. 브루어리 리스트 정보 라우터 및 데이터 테이블 작성 1-1. 라우터에 따른 컨트롤러 작성 → 어제는 사용자 라우터, 오늘은 브루어리 라우터와 데이터 테이블, 컨트롤러를 작성했다. 2주 프로젝트라 시간이 많이 없어 그런지 막상 브루어리는 작성해야 할 라우터가 그렇게 많지 않았다. 🌟 git add -A : 변경한 내용들을 staging area로 넘길 수 있다. 변경 내용들과 함께 모든 파일들을 add하는 git add . 명령어와 다르게 git status로 확인할 수 있는, 지금까지 commit하지 않은 파일들만 선택되어 add한다. ✷ git add 명령어 reference
1. sequelize-cli init을 사용하여 데이터 테이블 생성 npx sequelize-cli --name --attributes 2. router/usersRouter.js 라우터 생성하기 router 폴더 생성 usersRouter.js폴더 생성 express와 express.Router() require 각각의 라우터에 맞는 메소드와 함께 경로 작성 3. controller/user 생성 후 서버에서 보낼 응답 코드 등 작성 사용자 라우터에 알맞는 기능들 js파일 생성 후 각각에 맞는 서버 응답 보내주기. 비밀번호 수정 등은 bcrypt를 이용한 암호화하기. 4. 중간 중간 팀원들과 함께 상의 후 수정한 코드들 commit, merge하기. git pull upstream Dev로 혹시 모를..
어제는 1차 피드백을 바탕으로 한 기획 수정과 코드 작성 전 배포작업을 연습해보았고, 오늘 오전에는 2차 피드백을 기다리면서 코드 작성 전 전체적인 깃 플로우를 팀원들과 함께 연습하는 시간을 가진다. 1. Project Git Flow 명령어 정리 ① git clone → 팀장은 자신의 repository로 fork를 하지 않고 바로 코드스테이츠의 저장소, 즉 upstream의 저장소 주소를 바로 local에 clone한다. ② git checkout -b Dev → 개발 용도로 사용할 Dev branch 생성 ‣ 초기 셋팅에서 제일 처음으로 npm init 꼭 해줄 것 ‣ .gitignore 추가, 필요한 주요 모듈들 설치(--save-dev 옵션 꼭 붙일 것) ③ git add . git commit..
1. 담당 엔지니어님의 피드백 기반 기획 수정. ① readme.md의 서비스 설명 상세하게 작성할 것 ② 팀원 소개 및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의 메인 킥 작성하기 백엔드 - oauth 기능을 활용한 소셜 로그인 기능 프론트엔드 - 지도 api를 활용한 위치 찾기 ③ 팀 룰에 한 일을 공유하고 팔로업 미팅이 언제 어떻게 있을 것인지 보여주는 시간 계획표, 팀원들과 어떤 방식으로 작업을 할 것인지, 의견 갈등이 빚어질 때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에 대해 작성하기. → 서로간의 존중을 기반으로 이야기 잘 들어주기. → 효율성이라는 기준을 분명히 잡아두기. → 최대한 감정을 가라앉힌 상태로 이야기를 많이 해보고, 찬반이 필요한 의견에 관련되어 다수결로 결정하기. ④ 가게와 맥주에 대한 정보를 어떻게 수집하고 지도..
1. 백엔드 세부기획 사항 DB Schema Design 와이어프레임을 기반으로 한, dbdiagram을 활용한 스키마 디자인 작성 2. 칸반보드 태스크 카드 구성 및 마일스톤 연결 github을 활용하여 칸반보드를 만들고 미리 추가해놓은 템플릿을 활용하여 태스크 카드를 구성하고 마일스톤을 만들어 구성한 태스크 카드들을 마일스톤에 연결했다. 그리고 태스크 카드들을 각각의 역할에 맞는 칸반보드에 드래그 앤 드롭한다. 3. 시스템 아키텍처 구성 cloudcraft 활용 common 탭에 있는 block, image, area, text label을 활용하여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작성. 4. S3 및 EC2 등의 배포 환경에 대한 기획 진행 AWS를 활용하여 EC2, S3, RDS 생성 후 연결하여 배포. 5...
1. 기획 의도 : 내 취향에 맞는 브루어리 소개 2. 서비스의 핵심 기능(main kick) : 지도 api를 활용하여 직접 맥주를 생산(제조)하는 브루어리들을 소개하고, 취향에 맞도록 맥주의 종류들을 태그를 사용하여 카테고라이징 하여 고객의 니즈에 맞는 브루어리들을 찾아준다. 3. To-do list (프로젝트 요구사항 리스트업) Bare Minimum 지도를 이용한 브루어리 위치와 정보(메뉴 등) 제공(핵심 기능) 맥주들의 기본 정보 리스트업 - 사용자들이 잘 모르는 맥주의 기본적인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본인의 취향에 맞춰가기 위함. 기본적인 로그인 기능 (회원가입, 로그인, 로그아웃) Advanced 태그를 사용한 맥주 분류와 그에 따른 취향 추천 기능 순서에 따른 정렬 기능(좋아요, 가나다, 도수..
첫 프로젝트이니 만큼 어떤 주제를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이야기로 거의 4시간? 정도를 이야기한 것 같다. 그에 대한 마인드맵은 이러하다. 프로젝트 들어가기 전에 서로가 생각했던 내용들도 있었고, 브레인스토밍을 하다 보니 얘기 도중에 떠오르는 것들도 있었다. 이렇게 여러 가지 이야기를 하면서 결정된 첫 번째 프로젝트의 주제는 수제 맥주 브루어리였다. 선택하게 된 이유는, 아무래도 프로젝트를 아주 처음부터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닌 코드스테이츠에서 요구하는 필수 구현 기능들이 있었기에 제일 먼저 기준으로 맞추어야 하는 부분이 다름 아닌 시간적 여유였다. 2주의 기간이라고는 하지만 배포까지 염두에 두고 정식으로 돌입하는 시간을 맞춘다면 2주도 안 되는 시간이었기 때문이다. 오늘은 여기까지 했다. 사실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