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305)
개발하고 싶은 초심자
1. 버전 관리 시스템(Version Control System): 이전에 작성한 내용을 보존해주는 시스템. 1-1. 버전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버전 관리를 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것) ①코드를 수정한 뒤 에디터를 종료했다면 다시 실행한 텍스트 에디터에서 이전 코드로 돌아갈 수 없기 때문에 이전에 작성한 내용을 보존할 필요가 있다. 즉, 파일이 변경되면 변경 이력을 저장하고 이전 버전으로 돌아갈 수 있다. ⇒특정 시점에 Tag(꼬리표)를 달아 버전을 표시해주고, Branch(브랜치) 등으로 동시에 여러 버전을 개발할 수 있게 해준다(버전 관리). ② 변경 사항을 저장할 때는 어떤 사항이 변경되었는지 코멘트를 꼭 작성을 해야 하기 때문에 누가 어떤 파일을 추가, 수정, 삭제했는지도 확인이 가능하다(변경점 ..
오늘은 git 명령어들을 사용하여 터미널로 git에 clone, remote add, add, commit, push, pull을 진행해보았다. 계속 영상을 보며 개념을 정리해보니 어? 쉬운데? 30분 정도 걸리겠다! 라고 생각했는데... 나는 push token에러가 떴다. 왜 안되지? 나는 이 분의 블로그 글을 참조했더니 잘 되었다. https://hyeo-noo.tistory.com/184 그러나 그게 끝이 아니었다. 페어와 함께 했을 때 터미널에 뜨는 무수한 fatal들과 remote없음...branch 섞임...origin안나옴...접근 권한 없음... 결국 주어진 시간은 2시간 반인데 3시간 반을 썼다... 다행히 다음 스케쥴은 개념을 정리해볼 수 있는 퀴즈를 풀어보는 시간이어서 왜 이게 안되..
오늘은 어제 예습해보았던 git과 github의 내용들에 대하여 다시 공부해보고,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을 검색하며 채워나갔다. 역시 처음 들어보는 말들이라 그런지 글자들로만 봤을 때는 상당히 복잡해보인다. 아직 용어의 의미조차 익숙하지 않아서 이리저리 찾아보고 내 나름대로 이해할 수 있게 쓰는 중이다. 아직 제대로 소화해내지 못하는 느낌이 들어 불안하기도 하고, 압박감을 느끼기도 한다. 하지만 매번 느끼다시피 계속 불안해하며 압박감을 느끼면서 22주를 전부 보낼 수 없기 때문에 나름대로 해소를 해보려 노력 중이다.
오늘은 아침에 남은 반복문 코플릿 3문제를 풀고, 깃과 깃허브 부분을 예습했다. 코딩이 아예 처음이다보니 진도 과정에 있는 모든 것들이 전부 처음이다. 그러니 깃과 깃허브라는 것도 코드스테이츠 부트캠프에 합격하면서부터 처음 알게 되었다. 단순히 깃허브 인증을 해라, 과제 제출을 위해 Fork하고 Commit하여 Pull Request하라, 이런 말만 듣고 따라 했을 때 어렴풋이 이런 것이구나를 느꼈다. 실제로 이것이 어떤 기능을 하는 것이라는 걸 예습하고 나니 아 이래서 이렇게 하라고 했구나 생각이 들었다. 아직 예습 단계라 철저하게 모든 것을 다 이해하고 넘어가는 것은 아니지만, 당일에 맞춰서 스케줄에 따라가려니 너무 힘들고 제대로 소화해내지 못하는 부분이 아쉬웠다. 그 아쉬운 부분을 시간을 더 많이 ..
CLI와 명령어들, 그리고 CLI를 이용한 모듈 설치와 그를 이용한 짝수생성기 만들기를 해보았다. 내용 자체가 그렇게 어렵지는 않았지만 처음 설치하는 것이다보니 이것저것 오류도 많이 나오고 그 오류가 왜 나오는지 찾아보면서 하느라 조금 복잡해 보였다. 짝수생성기 과제도 그다지 복잡하지 않았다. 다만 과제를 제출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 처음 해보는 것이라 많이 미숙했다. 이번에는 페어와 함께 진행할 짝수생성기 과제를 위해 이틀 내내 복습과 예습을 겸하여 준비했는데, 그런 노력이 이번에 빛을 발했다고 생각한다. 실제로도 내용 자체가 그렇게 복잡하지 않았던 것도 한몫했다. 처음에는 복잡해 보이면 머리부터 아파오고 이걸 내가 할 수 있을까 싶은 생각이 많이 들었는데, 실제로 노력하고 해결할 수 있게 되니 정말 ..
CLI 기본 명령어 1. CLI(Command-Line Interface): 명령어를 입력해 컴퓨터를 조작하는 방식. 즉, 텍스트 터미널을 통해 사용자와 컴퓨터가 상호 작용하는 방식. 작업 명령은 사용자가 컴퓨터 키보드 등을 통해 문자열의 형태로 입력하며, 컴퓨터로부터의 출력 역시 문자열의 형태로 주어진다. CLI는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① 입력(Input) : 화면을 보기 위해 마우스를 사용하고,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해 키보드를 사용한다. 화상통화 시 얼굴을 보여주기 위해 내장되어 있는 카메라가 필요하고, 말을 전달하기 위해 마이크를 사용한다. 입력을 담당하는 키보드나 마우스, 컴퓨터에 새로운 명령을 전달하는 카메라와 마이크를 입력소스(Input source)라고 한다. 즉, 입력소스란 컴퓨..
오늘은 계산기의 기능을 실제로 javascript를 이용하여 만들어보는 과정을 페어와 진행했다. 사실 어제부터 진행한 부분이지만, 어제 처음 시작했을 때 자꾸만 개념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아 bare과제를 끝내긴 했어도 이해가 안 되어 advanced를 제대로 시작할 수 없었다. 물론 advanced과제를 꼭 제출하는 것은 아니지만, 필수 과제의 의도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면 응용에 응용은 더더욱 할 수 없고, 정체될 수밖에 없다. 항상 페어를 진행할 때마다 이렇게 내가 부족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이런 개념 부족을 내 스스로 파악하지 못하고 들어간다는 것에서 힘듦을 느낀다. 페어에게 이런 부분을 말하면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은 다 그렇다, 시간이 지나 경험을 쌓고 열심히 노력하면 해결될 문제라고 말씀..
1. CSS : Cascading Style Sheets의 약자로 HTML과 같은 마크업 언어가 표현되는 방법을 결정한다. CSS는 구조의 외부와 내부를 꾸미는 역할을 담당한다. 같은 HTML 구조를 가지고 있는 문서에, 각기 다른 CSS파일을 적용하면 전혀 다른 웹사이트처럼 보이게 할 수있다. 2. CSS 문법 구조 body { color : blue; font-size : 20px: } body는 선택자(selector). 셀렉터로 태그 이름이나 id, class(특정 요소)를 선택한다. 특정 요소를 선택한 후 { } 안에서 이 요소에 적용할 내용들을 작성한다. color와 font-size가 여기서 쓰인 그 예이다. { } 안에 있는 color : blue; font-size : 20px; 는 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