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305)
개발하고 싶은 초심자
9일과 10일에는 12일과 13일에 배울 html과 css에 관하여 예습을 하고, 11일에는 다 풀지 못한 반복문 코플릿을 풀었다. 정말 놀랍지 않게도, 반복문 코플릿이 아직도 3문제가 남았다. 예습을 한 이유는, 1주 차의 학습 진행을 한 결과 당일에 바로바로 이해를 하고 공부를 전부 할 수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 그래서 주말에는 평일에 배울 내용들을 미리 살펴보고 대략적인 내용을 알아놓았다. 11일에는 반복문 코플릿 문제를 풀었는데, 문제를 풀면 풀수록 내가 개념을 정말 어렴풋이 알고 있고, 심지어 제대로 알지 못해 알고리즘을 짜지 못하고, 그래서 응용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루 종일 코플릿을 페어와 붙잡았지만 결국 저녁 5시 반까지 제대로 된 진도를 나갈 수 없었고, 나는 저녁 먹는 ..
오늘은 html과 css, 그리고 계산기 만드는 코드를 짜는 것을 잠깐 해봤다. 분명 html과 css요소를 검색해가며 기본적인 것을 안다고 생각했고, 실제로 css 부분에서의 응용은 잘 따라갈 수 있었다. 문제는 계산기의 기능을 하는 것에 대한 코드 짜기. 문법에 틀린 것이 없는데 틀린 token이 있다고 나온다. 이걸 어떻게 해결해야하지? 혼자서 해결해보려 조건문 생각하는 것만 1시간, 틀린 token을 해결해보려 들여다보고 이리저리 시도해본 시간이 1시간. 2시간 내내 혼자 해결하려하고, 에러 메시지를 구글에 검색해봤지만 내가 원하는 답은 나오지 않는다. 이럴 때마다 내 자신이 답답하지만, 첫 숫자를 화면에 띄우게 하는 조건문을 나 혼자 알아내어 작성하고 저장하여 실행시켰을 때, 제대로 나왔을 때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bVoK/btrhFSrkDbB/OLIyyuBT7IWC98TRukTKr0/img.png)
‣ HTML: 웹 페이지의 구조를 담당하는 마크업 언어(Structure), 웹페이지의 구조를 표현하는 언어 ‣ CSS: 디자인 요소를 시각화하는 스타일시트 언어(Presentation) ‣ JAVASCRIPT : 단순한 웹페이지를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유저와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래밍 언어(Interaction) ex) 집을 짓는다고 가정할 때, 집 구조에 대해 러프하게 작성해놓는 것은 HTML 문서를 작성하는 것과 같다. 집 구조를 그려놓은 하나의 문서를 보고 문서의 제목, 지붕과 창문의 위치, 문의 위치 등을 명확하게 표시를 하고, 지붕의 색깔과 저택의 외관 색깔, 집을 지을 때 쓸 수 있는 재료 등의 정보를 간단히 적어두는 것은 CSS문서 작성과 같다. 앞서 작성해놓은 HTML 문서를 보..
1. 반복문 : 같거나 비슷한 코드를 여러 번 실행시켜야 할 때 쓰는 구문 ‣ 조건을 따지고 조건을 전부 정확하게 정의해준 다음에! ex) let sum = 1 sum = sum + 2; sum = sum + 3; sum = sum + 4; 배경색 쳐놓은 부분이 '조건' console.log(sum); // sum과 숫자 n의 합을 sum에 대입하자. // 조건에서 숫자 n은 2부터 시작한다. // 숫자 n은 4가 될 때까지 반복한다. // 숫자 n은 1씩 증가한다. 반복문을 작성하는 순서 ① 반복할 내용을 코드로 먼저 작성한다. 예시에서 보면 반복되는 코드는 sum = sum + n이다. ② 조건을 코드로 작성한다(조건문). 숫자 n은 2부터 시작한다. 그러면 변수로 먼저 선언을 해준다. let n =..
하루가 24시간이라도 모자라다. 코플릿 시간은 3시간을 줘도 4시간을 줘도 모자라다. 화요일에 코플릿 시간이 너무 긴 것 아니냐고 얘기했던 건 전부 오만이고 오산이었다. 현실은 한 문제 푸는데만 20분 30분이 넘게 걸리고, 결국 다 못 풀어서 개인 공부시간까지 할애하여 페어 프로그래밍으로 문제에 매달렸는데도 아직도 조건문과 문자열을 합해 3문제가 남았다. 둘이 함께 매달려도 아직까지 부족한 부분이 너무나도 많다. 개인 공부시간에는 코플릿 문제를 풀고, 정작 개인 공부를 그 뒤에 시작하려 때는 다음 날 아침에 일어나 다시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 개념 정리만 하고 잠들기 일쑤다. 가끔은 부트캠프에 아무 준비 없이 뛰어든 것에 대해 후회한다. 뛰어들기 전에 찍먹이라도 살짝 해보고 들어올걸 싶은 생각이 들기도 ..
1. 문자열 : 문자열(String), 일상생활에서 모든 글자의 나열을 문자열이라고 한다. ex) 'Hello' , 'Hello World' , '사과' 코드와 문자열을 구분하기 위하여 ''(작은 따옴표) / ""(큰 따옴표)를 사용한다. ‣ 문자열 구분은 자동완성 기능처럼 문자열을 직접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일에도 사용할 수 있고, 날짜를 나타내는 숫자를 문자열로 변경해 01과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 문자열은 String, 문자는 Charactor, 줄여서 char라고 표현할 수 있다. char가 포함된 메소드도 있다. ‣ str[index] ex) var str 'Apple' console.log(str[0]); // 'A' console.log(str[4]); // 'e' console..
1. 변수(Variable) ① 변수: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값. ⇒ 들어갈 수 있는 값이 다 다르다. 변수는 이름이 붙은 값.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한 데이터 보관함(메모리)의 크기는 동일하며, 이 때 보관함의 이름을 '변수'라고 한다. 변수를 통해 보관함에 있는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 프로그래밍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고, 컴퓨터에게 우리가 원하는 출력 방식을 입력한다. 변수 사용은 데이터를 편리하게 저장하고 꺼내 쓰는 것이다. ex) 구구단을 출력해낼 때, 숫자를 여러 번 반복해서 쓰는 것이 아닌 변수를 활용하면 쉬움 ② 선언(declaration): 데이터를 이용할 때 데이터 보관함의 자리를 확보하는 것. 키워드 let(var, const) 뒤에 변수; 로 쓴다. ⇒ let 변수; ex..
사실 지금도 이렇게 쓰는 게 맞는지 정말 모르겠다. 그래도 아예 안 한 것보다는 해놓은 걸 보는 게 더 낫겠거니 하는 마음으로 작성한다. 나중에 보면 내가 왜 이렇게 써놨지 하면서 다 갈아엎고 싶어지지 않을까... 그래도 써야지. 5일 오리엔테이션은 정말 정말 정~~~ 말... 꿀타임이었다. 나는 그걸 몰랐다. 어제 그렇게 끝났다고 맘껏 쉬지 말았어야 했다. 생각보다 어려웠다. 문법이 왜 이리 어려운지. 영어 배울 때 문법이 그렇게 어려워서 난리를 쳤었는데, 컴퓨터 언어의 문법을 배워야 한다니! 한글은 누가 하나하나 가르쳐주지 않아도 어순과 어법을 알 수 있었는데 컴퓨터는 왜 안되는가... 1차 좌절. 함수. 진짜 어렵다. 처음에 선언이니 할당이니 변수니... 처음 들어보는 말이 너무 많았다. 게다가 영..